분류 전체보기107 1인당 300만원 (서울 청년수당) 신청대상 및 방법 서울 청년수당은 어려운 여건에서도 노력하는 청년들이 취업과 진로를 찾는데 집중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최종 선정된 청년은 월 50만 원씩 최대 6개월간 활동지원금을 받으며 각자 설정한 계획에 따라 미래를 준비할 수 있습니다. 상반기 신청을 놓친 청년들을 위해 2차 참여자를 6월 12일부터 모집하니, 1차에 신청을 못했거나 대상이 되는 청년들은 신청을 해서 혜택을 받아 보시기 바랍니다. 청년수당이란? 서울에 거주하고 있는 만 19세 ~ 34세 미취업 또는 단기 근로 청년에게 활동지원금(월 50만 원 최대 6개월)을 지급하고, 경제상담·마음상담·취업역량강화 교육 등 청년 니즈에 맞게 프로그램 연계를 지속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청년수당 지원대상자 청년수당 사업은 지원대상은 신청일 기준 주민등록상 서.. 2023. 6. 9. 전기를 적게 쓰면 현금으로! (에너지 캐시백) 신청 방법 지구온난화의 주범으로 꼽히는 온실가스를 줄이기 위해 전 세계적으로 탄소중립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가정에서 탄소중립을 실천하는 효율적인 방법이 있다면 바로 전기를 절약하는 것입니다. 이에 정부는 국민의 에너지 절약 참여를 장려하고자 다양한 인센티브 제도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그중 실천 방법이 쉬우면서도 현금이라는 매력적인 보상을 제공하는 제도가 2022년부터 시행되는 '에너지 캐시백' 제도입니다. 에너지 캐시백 제도란? 에너지 캐시백 제도는 우리 아파트 세대가 이웃 보다 전기를 상대적으로 적게 사용했다면 적게 사용한 만큼의 전기 사용량을 현금으로 돌려받는 국민 에너지 절감 인센티브 프로그램입니다. 캐시백 지급 대상은 한전 사업소별 참여 아파트 또는 세대의 평균 절감률 보다 높은 절감률을 달성 한 아파트 단.. 2023. 6. 8. 전세사기란 무엇인가? 전세제도를 알아보자 세입자의 보증금을 떼먹는 ‘전세사기’가 요즘 기승을 부리 있습니다. 그동안 세입자가 떼인 보증금이 무려 총 2조 원에 달하며, 날이 갈수록 피해 건수도 증가하고, 피해 금액도 커지는 추세라고 합니다. 특히, 청년 세입자일수록 더 조심해야 해요. HUG에서 보증금 사기를 당한 사람 3명 중 2명이 청년층이라고 할 정도로, 매우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청년 세입자가 가장 조심해야 할 전세사기! 단, 전세사기 유형들이 전부 사기죄에 해당하지는 않기 때문에 더욱 사전에 전세사기를 예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청년 세입자들은 전세제도와 용어에 대해서도 모르는 경우가 있어서 간단히 알려드리겠습니다. 전세 제도란? 전세는 우리나라에만 있는 독특한 주거 제도인데, 집주인(임대인)에게 몇 년간 동을 맡기고 그의 .. 2023. 6. 7. 전세사기 유형별 사례 및 대처방법(계약기간이 끝난 후) 이번 시간에는 전세계약기간이 끝난 후에 일어날 수 있는 사기유형과 대처방법에 대해 알아보려고 해요 어떤 경우들이 있는지 알아보고 각 상황별로 어떤 게 전세사기를 안 당할 수 있는지 알아보고 해당하는 경우가 발생할 때 잘 대처하실 수 있길 바랍니다. 그럼 어떤 경우들이 있는지 살펴보도록 할게요 계약이 끝났는데 임대인이 보증금을 안 돌려주는 경우 계약기간이 종료되었는데 임대인이 보증금을 돌려주지 않는다고요? 그럴 때는 보증금을 꼭 돌려받을 수 있도록 아래 3가지를 이용하세요. 1. 내용증명 보내기 ‘내용증명’이란 쉽게 말해 우체국에서 공적 증명을 해주는 거예요. 내가 누군가에게 어떤 서류를 전달할 때 내용증명으로 보내면, 우체국에서는 그 서류가 전달되었는지뿐만 아니라 그 내용까지도 증명해 주는 거죠. 간단하.. 2023. 6. 6. 이전 1 ··· 10 11 12 13 14 15 16 ··· 27 다음